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다이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다이빙은 아시안 게임에서 열리는 다이빙 종목을 의미한다. 1951년 뉴델리에서 처음 시작되어, 2022년 항저우 대회까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남자 1m 스프링보드, 3m 스프링보드, 10m 플랫폼, 3m 싱크로나이즈 스프링보드, 10m 싱크로나이즈 플랫폼, 여자 1m 스프링보드, 3m 스프링보드, 10m 플랫폼, 3m 싱크로나이즈 스프링보드, 10m 싱크로나이즈 플랫폼의 10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된다. 중국이 압도적인 메달 획득 국가이며, 대한민국은 다이빙 종목에서 여러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다이빙 - 2018년 아시안 게임 다이빙
    2018년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다이빙은 남자 5종목과 여자 5종목으로 진행되어 중국이 금메달 8개로 우세했으며, 대한민국은 은메달 2개와 동메달 3개를 획득했고 총 14개국 8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아시안 게임 다이빙 - 2014년 아시안 게임 다이빙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다이빙은 10개국 61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자 5개, 여자 5개 종목에서 경쟁을 펼친 결과, 중국이 금메달 10개를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낸 세부 종목이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다이빙
아시안 게임 다이빙
종목다이빙
영어 종목명Diving
픽토그램Diving pictogram.svg
경기 단체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단체 약자OCA
세부 종목10
남자 종목5
여자 종목5

2. 역대 아시안 게임 다이빙

1951년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실시된 다이빙은 이후 아시안 게임의 주요 종목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초기에는 일본이 강세를 보였으나,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부터 중국이 압도적인 실력을 과시하며 현재까지 최강국으로 군림하고 있다.

아시안 게임 다이빙 종목은 초창기 남자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 여자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으로 구성되었다.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 남녀 1m 스프링보드와 팀 종목이,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남녀 싱크로나이즈드 3m 스프링보드와 싱크로나이즈드 10m 플랫폼 경기가 추가되어 현재의 종목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대한민국은 1970년 방콕 아시안 게임 송재웅이 남자 10m 플랫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다이빙 역사상 첫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기록했다. 이후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이선기 (남자 3m 스프링보드, 동메달),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우하람 (남자 10m 플랫폼, 동메달) 등이 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다이빙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 1. 대회 목록


2. 2. 세부 종목 변천사

종목19511954195819621966197019741978198219861990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개최 횟수
남자
1m 스프링보드XXXXXX6
3m 스프링보드XXXXXXXXXXXXXXXXXXX19
10m 플랫폼XXXXXXXXXXXXXXXXXXX19
싱크로나이즈드 3m 스프링보드XXXXXX6
싱크로나이즈드 10m 플랫폼XXXXXX6
X1
여자
1m 스프링보드XXXXXX6
3m 스프링보드XXXXXXXXXXXXXXXXXX18
10m 플랫폼XXXXXXXXXXXXXXXXXX18
싱크로나이즈드 3m 스프링보드XXXXXX6
싱크로나이즈드 10m 플랫폼XXXXXX6
X1
총계244444444484481010101010


3. 세부 종목

아시안 게임 다이빙은 현재 다음과 같은 세부 종목으로 구성된다.

남자여자



다음 표는 역대 아시안 게임 다이빙의 세부 종목별 개최 현황을 나타낸다.

종목19511954195819621966197019741978198219861990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개최 횟수
남자
1m 스프링보드XXXXXX6
3m 스프링보드XXXXXXXXXXXXXXXXXXX19
10m 플랫폼XXXXXXXXXXXXXXXXXXX19
싱크로나이즈드 3m 스프링보드XXXXXX6
싱크로나이즈드 10m 플랫폼XXXXXX6
X1
여자
1m 스프링보드XXXXXX6
3m 스프링보드XXXXXXXXXXXXXXXXXX18
10m 플랫폼XXXXXXXXXXXXXXXXXX18
싱크로나이즈드 3m 스프링보드XXXXXX6
싱크로나이즈드 10m 플랫폼XXXXXX6
X1
총계244444444484481010101010


4. 메달 집계

아시안 게임 다이빙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70493122
217213270
32125
4151319
51146
61102
7071421
8061117
90134
100033
110022
0022
130011
0011
합계929291275


5.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다이빙

대한민국은 1966년 방콕 아시안 게임 여자 다이빙 10m 플랫폼 종목에서 김영채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다이빙 종목에서 첫 메달을 획득했다. 1970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는 김영채가 같은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여자 싱크로 3m 스프링보드 종목에서는 강민경, 임성영이 은메달을 획득했고,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다이빙 10m 플랫폼 종목에서는 우하람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5. 1. 대한민국 선수 메달 리스트 (남자)


5. 2. 대한민국 선수 메달 리스트 (여자)

대한민국 여자 선수 메달 리스트
대회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2 부산강민경, 임성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